티스토리 뷰
목차
교통비 부담을 덜어 주는 알뜰교통카드 정책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여러 종류의 교통비 환급 카드가 나오고 있습니다. 그 중에서도 K패스 카드와 인천 I패스 카드로 두 가지의 혜택을 비교하면서 최대 월 5만원 이상의 혜택을 볼 수 있는 교통 카드의 혜택 신청한 사람에 한하여 현금으로 돌려 받을 수 있으니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쉽게 신청하시면 됩니다.
지원 금액
- K 패스: 만 19~34세 30, 만 35세 이상 20%, 저소득층 53%
- 인천 I패스: 일반 20%, 만 19~39세 30%, 65세 이상 30%, 저소득층 53%
K패스
구분 | 연령 | 지원% |
K 패스 | 만 19~34세 | 30% |
만 35세 이상 | 20% | |
저소득층 | 53% |
인천 I패스
구분 | 연령 | 지원 % |
인천 I패스 | 일반 | 20% |
만 19~39세 | 30% | |
65세 이상 | 30% | |
저소득층 | 53% |
지원 기준
- K패스: 월 15회~ 월 60회 대중교통 이용 가능합니다.
- 인천 I패스: 월 15회~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가능합니다.
카드 신청 방법
- 사업 대상 지역에 속한 곳에 살고 있는지 확인(인천 I패스)하고 사업 대상지에 속해 있다면 카드 신청하면 됩니다.
- 기존에 알뜰 교통카드가 있는 경우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카드 번호를 입력하고 원하는 카드로 전환하면 됩니다. 아래 바로가기로 한 번에 신청하세요.
- 신규 신청을 할 경우 카드사별로 혜택을 비교해 보고 카드 발급 가능하며 인천 I패스는 추가로 가입할 필요가 없습니다(신용카드, 체크카드 중 선택 가능).
카드 이용 안내
-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15회 미만으로 이용한 경우 당월 적립 금액이 소멸, 마일리지 적립 후 높은 금액 순으로 최대 60회까지 지급됩니다.
- 마일리지 적립은 최소 4일 뒤부터 확인 가능하며 최대 14일 이상이 걸립니다.
▼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▼
K패스 카드 발급 방법과 혜택
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으로 24년 5월부터 출시 및 실시하는 k패스는 대중교통비를 20~53% 까지 절약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으로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혜
103.page-pearl.com
현금영수증 발급방법과 등록
현금영수증으로 등록하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교통비 혜택을 제공하는데, 이를 활용하려면 카드를 현금으로 충전하면서 아래 링크로 현금영수증카드를 등록하여 연말정산 시 혜택을 받을
103.page-pearl.com
티머니GO 홈페이지와 앱설치 편리성
티머니GO는 대중교통부터 다양한 이동수단을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입니다. 티머니GO 홈페이지와 앱설치 편리성으로 이 앱을 활용하면 대중교통 이용부터 택시 호출, 자
103.page-pearl.com
기후동행카드 신청과 판매처 확인하기
서울시에 운영하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안에서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해 만든 교통카드입니다. 버스, 지하철, 따릉이까지 가능하며 월 65,000원으로 무제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무조건 만들
101.page-pearl.com
운전경력증명서 발급(인터넷,무인발급기,경찰서)
운전경력증명서 발급은 경찰서, 정부 24(인터넷), 무인발급기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고 이 중 가장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요즘은 인터넷을 통한 발급이 많이 이용되고 있
101.page-pearl.com
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방법 한방에 정리
청년도약계좌에는 일시납입 제도가 있어,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으로 도약계좌를 가입하게 되면 정부 기여금이 일시에 지급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먼저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을 아래
101.page-pearl.com
부가가치세 예정신고 가산세 납부
사업을 운영하시는 분들이라면 부가가치세 예정신고를 해야 합니다. 하지만 바쁜 일정으로 인해 깜빡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부가가치세 예정신고를 해야 하며,
101.page-pearl.com
'살면서생긴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팀K리그 vs 토트넘 경기 예매와 무료 중계방송 (0) | 2024.06.27 |
---|---|
셀프 에어컨 청소와 에어컨 가스 부족 증상 확인하기 (0) | 2024.05.17 |
부가가치세 환급 받기 (0) | 2024.01.03 |
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발급 한방의 정리 (0) | 2024.01.03 |
부가가치세 신고 기간과 신고 방법 총정리 (0) | 2024.01.03 |